프로토 타입만 존재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
2025년도에 출판될 예정
AI코스웨어를 사용할 것이다.
AI코스웨어가 먼저 반영될거다.
학습 진단 분석
맞춤형 수준 속도 반영한 학습
학생의 관점에서 설계
AIDT에서 고려해야할 10개의 요소
1.대시보드 기반 학습 데이터 분석
2.학생, 교사, 학부모 간 소통 지원
3.디지털 원패스를 활용한 통합 로그인
4.쉽고 편린한 UX/UI
5.학습 진단 및 분석
6.학생별 최적의 학습 경로 및 콘텐츠 추천
7.맞춤형 학습 지원 = AI튜터
8.수업의 설계와 맞춤 처방 지원 = AI보조교사
9.콘텐츠 재구성 추가
10.학생의 학습 이력 등 데이터 기반 학습 관리
AIDT는 현재 프로토 타입(디자인과 구조, 핵심 아이디어의 가능성) 형태로 있다.
학생의 첫 화면에 나오는 것들
-학생들의 기분에 대한 부분 표시
-프로필, AI 교과서, AI 학습지, AI 학습 분석 등이 보임
-한 문제를 풀 때 마다 문제가 어려웠나요 쉬웠나요 등으로 데이터 수집
수업 만들기
교사가 교과서자료, AI 학습지, 수업활동, 유튜브, 자료 검색 등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수업 설계
학습과정(수업 중)
AI학습지를 포함한 학습 컨텐츠를 단계별로 따라가며 교사와 학습자가 수업에 직접 DT 활용
학생의 팔로우 및 이탈 여부 확인 가능
학습과정(교사 화면)
칭찬하기
개별 학생 긍정 피드백
학습과정(AI 학습지 해결)
학생의 실시간 문제풀이 현황과 학습 결과 확인 가능
학습과정(종료), 대시보드
학습자의 학습데이터 및 정서데이터 시각화, 성취도 및 세부 영역 학습 및 성취도 확인 가능
학습 도우미 챗봇 - AI튜터
학습자의 학습을 도와주는 AI튜터 역할
학습자 데이터와 연동되지 않는 챗봇 기반의 질의 응답 서비스
교사에게 직접 질문하는 것도 가능
프로토 타입에서는 100% 기능을 확인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교육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DT 영어 연수 (0) | 2024.05.28 |
---|---|
3.23.(토) 뤼튼 공인 컨설턴트 특강 (0) | 202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