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패스를 따라서 움직이는 글자 애니메이션 만드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텍스트 레이어에 마스크로 패스를 만들고 텍스트를 패스에 연결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애니메이션을 만들 수 있었다. 처음에는 원형 패스를 만들고 텍스트를 연결하니 글자가 원 모양으로 한번에 정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패스의 옵션 중에 reverse, perpendicular, force alignment 등의 기능을 사용하니 텍스트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각 텍스트가 숨어 있다가 원하는 곳에 등장하는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보았는데 이 기능은 패스의 옵션 중에 first margin이라는 기능을 사용했다. first margin 옵션을 조절하니 텍스트가 패스를 기준으로 왼쪽, 오른쪽으로 움직여서 키 프레임을 추가하면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알파 매트를 활성화해서 숨김처리를 하니 원하는 곳에 등장할 수 있었다.
다음 강의는 애니메이션 프리셋으로 손쉽게 문자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애프터이펙트에는 애니메이션 효과를 미리 만들어서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둔 목록들이 있는데 이것을 애니메이션 프리셋이라고 한다. 텍스트 효과에만 100가지도 넘는 다양한 프리셋이 있다고 하셨다. 그 중에서 이번 강의에는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type writer 효과를 적용해보고 원하는 대로 효과를 수정해 보았다. 예전에 프리미어 프로로 type writer와 같은 효과를 만들기 위해 손으로 일일이 작업했던 기억이 있었는데 애프터이펙터에서는 클릭 한번으로 쉽게 만들어져서 놀라웠다.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효과들이 있다고 하니 기회가 되면 한번씩 적용해 보면서 내가 원하는 프리셋을 정리해 봐야겠다고 다짐했다.
마지막 강의는 text 레이어에 position, scale 추가하고 재미있는 모션을 만들어 보았다. text 레이어에 애니메이션 중 position, scale을 추가하고 키프레임을 설정하여 위에서 아래로 글자가 비처럼 떨어지게 만들 수도 있었고 반대로 아래에서 위로 올라오는 효과를 만들 수도 있었다. 그 중에서 end와 offset이라는 기능이 신기했는데 전체 효과 중 어느 정도를 결정할건지를 end로 설정하고 offset을 사용해서 시간의 흐름을 설정하는 모습이었는데 아직은 정확히 어떻게 실행되는지 이해가 되지 않아서 꾸준하게 연습해보면서 감을 익혀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scale 기능과 tracking 기능을 사용해서 시간이 지나면서 글자가 하나씩 커지면서 동시에 커진 글자가 다른 글자를 겹치지 않도록 자간을 조절하는 방법도 알게 되었다.
'자기개발 > [2021] 애프터이펙트 & 일러스트레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션그래픽인강 EP.20 (0) | 2021.04.25 |
---|---|
모션그래픽인강 EP.19 (0) | 2021.04.23 |
모션그래픽인강 EP.15 (0) | 2021.04.11 |
모션그래픽인강 EP.13 (0) | 2021.04.01 |
모션그래픽인강 EP.12 (0) | 202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