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개발/[2021] 애프터이펙트 & 일러스트레이터

모션그래픽인강 EP.21

Be the Admired Educator 2021. 4. 30. 20:51

 

https://bit.ly/3au6Xn4

 

모바일 UI 디자인 by 스케치&피그마 올인원 패키지 Online. | 패스트캠퍼스

디자이너가 아니어도 쉽고, 재밌게 공부할 수 있는 올인원 패키지를 지금 만나보세요! 실제 모바일 UI 디자인 작업으로 진행하는 실습부터 스케치&피그마 툴 스킬셋 강화까지 현업 전문가와 함

fastcampus.co.kr

 

오늘은 비디오 풋티지를 불러오고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첫 번째로 비디오 푸티지를 불러오고 다음으로 Split Layer로 레이어를 분리하고 Stretch로 비디오 재생 속도를 조절하고 Trim Comp To Work Area로 컴포지션 트림하고 마지막으로 프레임 블렌딩을 적용해 보았다. 어도비 사에서 만든 영상 편집 프로그램은 프리미어 프로라는게 있는데 나는 애플에서 만든 파이널컷을 자주 사용하는 편이다. 하지만 애프터 이펙트에서도 기본적인 영상 편집이 가능할 정도는 된다고 해서 강의를 계속 보았다. 예시로 드론으로 촬영한 야구 선수단의 훈련 모습이었는데 처음에는 원하는 부분을 잘라서 사용하셨다. 이때 사용한 게 Split Layer로 레이어였다. 단축키는 ctrl+shift+D였는데 많이 사용되는 단축키라 외워두는게 좋다고 하셨다. 그리고 Stretch 기능을 사용해서 영상의 속도를 조절했는데 100을 기준으로 숫자가 낮을수록 빠르게 배속되었고 높을수록 천천히 배속되었다. 그리고 배속되는 시점도 시작, 현재 위치, 끝으로 정할 수 있었다. 생각보다 간단하게 끝냈다. 그리고 영상의 속도 조절로 인해 컴포지션의 길이라 줄어들었는데 이것을 한번에 조절해주는 방법이 Trim Comp To Work Area였다. 타임라인 패널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누르니 사용하는 방법이 나왔다. 예전에는 crtl+K를 눌러서 수치를 조절했었는데 좋은 방법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배속된 영상을 조금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프레임 블렌딩을 적용했는데 컴퓨터 사양에 따라 렌더링 되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하셨다.

다음 강의는 Freeze Frame으로 시간을 멈추고 Time-Reverse Later로 역재생 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처음에는 Freeze Frame을 적용하고 스톱모션으로 연출한 다음 Time-Reverse Layer로 역재생 해 보았다. 시간과 관련된 효과는 해당 영상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나오는 Time 메뉴에 있었다. Freeze Frame을 선택하니 움직이던 영상이 사진처럼 정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음 멈추고 싶은 장면에다가 키프레임을 추가하니 해당 영상의 장면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eeze Frame을 통해 영상을 사진으로 바꿀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Time-Reverse Layer 효과는 말 그대로 영상이 거꾸로 나오는 것을 만들 수 있는데 반복 효과를 통해 과장되게 만들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Posterize Time1초에 몇 프레임으로 끊어서 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지 결정할 수 있었다. 보통 스톱모션 같은 효과를 위해 자주 사용되는 기능이라고 했는데 스톱모션은 일반적으로 12프레임으로 설정한다고 했다. 12프레임으로 설정 후 재생해보니 정말 조금씩 뚝뚝 끊기는게 사진으로 만든 느낌이 났다. 마지막으로 Expression으로도 영상을 끊어서 나오게 만들 수 있었는데 나에게는 아직 Expreesion의 코드가 익숙하지 않아서 어렵다고 생각했다.

마지막 강의는 Time Remapping으로 시간 내 마음대로 편집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다. Time Remapping의 장점은 키프레임을 통해 시간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키프레임 어시스턴트로 다양한 속도 조절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